여름이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해가 갈수록 여름철 기온이 올라가는 것이 체감이 될 정도입니다. 그에 따라 온열질환인 일사병과 열사병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름철 일사병과 열사병이 무엇인지 그 증상과 차이를 비교해 보고, 예방법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
이름만 볼 때 일사병(日射病)은 해를 많이 쬐었을 때 나타나는 병, 열사병(熱射病)은 열을 많이 쬐었을 때 나타나는 병입니다. 두 질환 모두 장시간 높은 열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사병은 1) 땀을 많이 흘리고 2) 두통이나 구토 등 추가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수분이 감소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사병은 흔히 ‘더위를 먹었다’고 표현하곤 합니다. 더위를 먹었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심해지면 실신을 하거나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열사병은 체온 조절 중추 신경계의 이상으로 몸속의 열이 발산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1) 고열, 2) 의식변화, 3) 땀을 흘리지 않는 무발한 증상이 주된 증상입니다. 땀은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땀을 흘리지 않아 체온이 계속해서 높아지다가 40도보다 높아지면 뇌를 포함한 장기에 손상이 오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열사병은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대처 방법
일사병과 열사병 모두 기본적으로 환자의 체온을 낮추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대처법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 옷을 벗는다.
- 물을 마신다.
- 물을 적신 수건을 덮는다.
- 시원한 바람을 쐰다.
-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한다.
우선 즉시 열 배출을 방해하는 옷을 벗고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시원한 물을 마시거나 시원한 물을 적신 수건을 덮어서 심부 체온을 낮추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단, 얼음물과 같이 너무 찬 물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찬물을 갑자기 마시면 위를 포함한 장기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고, 너무 차가운 물로 냉찜질을 하면 피부의 혈관을 수축시켜 오히려 땀 배출과 열 발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땀을 흘린다는 생각으로 미지근한 물만 사용해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어린이와 노인의 경우에는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므로 열사병에 특히 더 취약합니다. 무력감, 구토감, 메스꺼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옷을 시원한 물로 적셔서 체온을 낮춰야 합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을 예방하는 방법
일사병과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기본적으로 여름철 폭염에는 실외 활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실외 활동 시에는 자주 물을 마셔서 수분을 보충하고, 활동 중간마다 꼭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어린이와 노인들은 특히 더 열사병 예방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름철 평소에 아래 지침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 에어컨을 적절히 사용한다.
- 야외 활동을 삼가한다.
-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는다.
- 시원한 물을 항상 소지하고 필요할 때 수분을 보충한다.